320x100
리스트의 인덱싱
- car라는 변수에 담겨있는 '구급차'를 인덱싱을 통해 가져오기
car 리스트의 첫번째 원소는 0부터 시작하므로 구급차는 인덱싱 순서로 2번째에 있다.
car=['경찰차','소방차','구급차','녹차']
car[2]
- 1번째 인덱스 가져오기
car[1]
- 마지막 인덱스 가져오기
car[-1]
문자열을 리스트로 만들기
- split(): address를 공백으로 문자열 분리
address=" 경기도 파주시 심학산로 000 1001동 "
address_list=address.split()
- len(): 문자열 길이 구하기
len(address)
- len(): 리스트의 길이 구하기
총 리스트의 길이로 리스트 안의 원소 개수와 같다.
len(address_list)
- 인덱싱으로 '파주시' 만 가져오기
address_list[1]
- 슬라이싱으로 '파주시' 만 가져오기
[ 시작인덱스 : 끝인덱스+1 ]
address_list[1:2]
- strip()
앞 뒤공백 제거
address.strip()
- startswith()
특정 문자로 시작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address.startswith(" 경기") #False 값을 출력
address.startswith("경기") #True 값을 출력
문자열과 리스트의 in
- in 리스트
특정 문자열을 포함하고 있는지 알려준다.
"경기" in address
"경기" in address #True 값 출력
"경기" in address #False 값 출력
"경기도" in address #True 값 출력
- join()
join(리스트) 를 사용하면 리스트를 공백 문자열로 연결 할 수 있다.
join 앞의 " "안의 값을 기준으로 연결해준다.
print("".join(address_list)) #경기도파주시심학산로0001001동
print("_".join(address_list)) #경기도_파주시_심학산로_000_1001동
320x100
320x100
'빅데이터 관련 자료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기초 - 6 (0) | 2021.08.02 |
---|---|
파이썬 기초 - 5 (0) | 2021.07.29 |
파이썬 기초 - 4 (0) | 2021.07.26 |
파이썬 기초-3 (0) | 2021.07.22 |
파이썬 기초 - 1 (0) | 2021.07.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