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 메모리(In-memory) 란?
잡학다식의 지식공방

빅데이터 관련 자료

인 메모리(In-memory) 란?

carpe08 2025. 4. 27. 10:09
320x100

인 메모리란 데이터를 디스크(HDD/SSD)가 아닌 메모리(RAM) 상에 저장하고 처리하는 방식입니다. 디스크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어, 성능이 중요한 시스템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1. 인 메모리의 개념

  • 디스크 기반 처리: 데이터를 디스크에 저장하고 사용할 때마다 읽어오는 방식 (느림)
  • 인 메모리 처리: 데이터를 메모리에 올려놓고 실시간으로 처리하는 방식 (빠름)

2. 인 메모리 vs 디스크 기반

구분 디스크 기반 인 메모리 기반

저장 위치 HDD/SSD RAM
속도 느림 빠름
예시 MySQL, PostgreSQL Redis, Memcached, SAP HANA

3. 인 메모리 기술 사용 예시

  • 캐시 시스템
    • Redis, Memcached: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해 빠르게 접근
  • 인 메모리 데이터베이스
    • SAP HANA, VoltDB: 전체 데이터를 메모리에 올려놓고 고속으로 분석 처리
  • 빅데이터 처리 프레임워크
    • Apache Spark: RDD(Resilient Distributed Dataset)를 통해 인 메모리 방식으로 연산
  • 게임 서버/실시간 시스템
    • 실시간 유저 정보, 순위표 등 빠른 처리가 필요한 데이터는 메모리에 저장

4. 장단점

장점

  • 디스크 IO가 없어 매우 빠른 속도
  • 실시간 데이터 처리에 적합

단점

  • 메모리 비용이 높고 용량이 제한됨
  • 전원 차단 시 데이터 소실 위험 (보완 기술 필요)

5. 요약

인 메모리 기술은 속도와 성능이 중요한 환경에서 매우 유용합니다. 특히 캐시, 실시간 분석, 게임 서버 등에서 폭넓게 활용되며, 점점 더 많은 시스템이 인 메모리 아키텍처를 채택하고 있습니다.

320x100
320x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