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memory DB, Redis를 사용한 이유
잡학다식의 지식공방

빅데이터 관련 자료

In-memory DB, Redis를 사용한 이유

carpe08 2025. 4. 26. 10:13
320x100

현대 웹 애플리케이션은 빠른 응답 속도와 확장성 있는 구조를 요구합니다. 특히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접속하는 환경에서는 세션 데이터의 일관성과 빠른 조회 성능이 핵심 요소가 됩니다.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선택된 기술이 바로 In-memory Database, 그 중에서도 Redis입니다.


1. In-memory DB를 사용하는 이유

일반적인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를 디스크(HDD 또는 SSD)에 저장합니다. 하지만 디스크 기반은 IO 처리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실시간성이 요구되는 시스템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에 반해 In-memory DB는 RAM에 데이터를 저장하므로 디스크 IO 없이 매우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읽고 쓸 수 있습니다.

특히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유리합니다:

  • millisecond 또는 microsecond 단위의 빠른 응답이 필요한 경우
  • 자주 조회되는 데이터를 빠르게 가져와야 하는 경우 (ex. 캐시 서버)
  • 서버 간 세션을 공유해야 하는 경우 (ex. 분산 환경)

2. Redis를 선택한 이유

In-memory DB 중에서도 Redis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가장 널리 선택됩니다.

  • Key-Value 구조: 세션 데이터처럼 단순한 구조를 저장하고 조회할 때 최적화되어 있음
  • 높은 성능: sub-millisecond 단위의 응답 속도로 실시간 처리가 가능
  • 복제 및 장애 대응:
    • Master-Slave 구조를 통해 데이터 복제 가능
    • Sentinel 또는 Cluster 모드를 활용해 장애 시 자동 복구 가능
  • 데이터 영속성 지원:
    • Snapshot(RDB), Append Only File(AOF) 방식을 통해 메모리에 있는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디스크에 저장 가능
  • 활발한 커뮤니티와 Spring 생태계의 지원:
    • Spring Boot와의 통합이 쉬워 개발 생산성을 높임

3. Session 관리에서의 Redis 활용

분산 서버 환경에서는 여러 인스턴스가 동일한 사용자의 세션을 참조해야 하므로, 단일 세션 저장소가 필요합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Redis를 세션 서버로 활용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 모든 서버 인스턴스가 동일한 세션 데이터를 공유함으로써 로그인 상태 유지가 가능
  • Session-Clustering 방식에서 발생하는 데이터 복사 문제 방지
  • Sticky Session 문제 해결 및 서버 추가에 따른 확장성 보장

 


결론

In-memory DB는 디스크 IO 병목 현상을 제거해 고속의 데이터 처리를 가능하게 합니다. Redis는 그 중에서도 성능, 확장성, 복제 및 장애 대응 능력, 개발 편의성 측면에서 매우 뛰어난 도구입니다. 실시간성이 중요한 웹 애플리케이션, 특히 세션 관리나 캐시 활용이 필요한 시스템에서는 Redis가 매우 적합한 선택입니다.

320x100
320x100